목회칼럼

HOME > 설교와칼럼 > 목회칼럼

조회 수 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톰 레이너(Thom Rainer)는 미국 남침례교 산하 <라이프웨이 크리스천 리소스> 연구재단의 회장이다. 그는 죽어가는 교회가 소생된 경우를 목격하고 그들 가운데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발견했다. 죽어가는 교회가 어떻게 다시 살아났을까? 다음은 그가 관찰한 특징들이다. 우리에게도 시사점이 있는 것 같다.

 

1. 기도 시간을 늘였다.

교인들은 하나님만이 교회를 살릴 수 있는 분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교회에 관한 모든 일을 하나님에게 전적으로 맡기고 자신들은 오직 기도하기에 힘썼다. 몇 주나 몇 달, 가정에서 혹은 교회에서 기도 모임을 계속 가졌다.

 

2. 자신을 부인하기로 서약했다.

죽어가는 교회에는 자기중심적인 특징이 있다. 교인들은 찬양 스타일, 설교 시간, 사역과 프로그램의 양식, 심지어는 교회 가구들에 이르기까지 비판했다. 교인들은 끊임없이 내가 보기에, 내가 생각하기에라고 하면서 내가에 집중했다. 그런데 소생한 교회는 자기 방식을 고집하지 않기로 하고 심지어 자기 부인 서면 서약서를 작성한 교회도 있다.

 

3. 성스러운 것을 기꺼이 죽였다.

교회에서 절대 바꿀 수 없다고 하는 프로그램, 사역, 행사, 가구 등 성스러운 제물이 되어버린 것을 철폐했다. 자기 부인을 서약할 때 교회 안에 누구도 건드리지 못하는 우상인 된 것들에 대해서 내려놓고 영적인 눈이 열릴 때까지 기도하기로 했다.

 

4. 외부자의 눈으로 관찰했다.

교인들은 자신을 계속 부인하면서 교회가 외부자의 관점에서 어떻게 비치는지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실제로 누군가에게 부탁해서 자신들의 교회를 방문하게 하고 그 경험을 나누어주기를 요청했다. 이러한 절차가 시설, 안내자의 태도, 어린이부 사역 등을 어떻게 바꾸어놓았는지를 알게 되면 놀랄 것이다.

 

5. 연락하고 초대하기로 합의했다.

교인들은 교회 바깥의 사람들과 관계를 갖기 위해 의도적으로 노력했다. 그들은 매달 몇 명의 새로운 사람을 교회로 초대할 것인지 기도 제목으로 정하기도 했다. 내부지향에서 외부지향으로 교회의 모든 정책을 바꾸기 시작했다.

 

6. 부정적인 비판가에 의해 흔들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소생한 교회들은 이전에 완고한 저항, 고집스런 반대, 재정적 위협 등의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더이상 교회가 비판가들, 방해꾼들에 의해서 좌우되어서는 안된다고 결심하고 공격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하는 사람들과 연대하였다.

톰 레이너가 관찰한 것은 어떻게 하면 교회가 죽어갈 수 있는지도 알려주는 것 같다. 죽어가는 교회도 소생할 수 있다. 주님은 생명을 살리시는 분이시다. 그러나 건강한 교회도 주를 의지하지 않고 돌보지 않으면 죽어갈 수도 있다.

?

  1. No Image 23Apr
    by 이정률
    2023/04/23 by 이정률
    Views 15 

    설교 듣는 것이 예배드리는 것이 아닙니다(최영기 목사)

  2. No Image 16Apr
    by 이정률
    2023/04/16 by 이정률
    Views 19 

    은퇴하시는 장로님들에게

  3. No Image 09Apr
    by 이정률
    2023/04/09 by 이정률
    Views 26 

    천안 ‘삼일 반점’ 목자가 사는 법(최영기 목사)

  4. No Image 02Apr
    by 이정률
    2023/04/02 by 이정률
    Views 14 

    마음의 깊이

  5. No Image 26Mar
    by 이정률
    2023/03/26 by 이정률
    Views 16 

    하나님과 시선 마주치기

  6. No Image 19Mar
    by 이정률
    2023/03/19 by 이정률
    Views 17 

    죽어가는 교회를 살리는 6가지 방법

  7. No Image 12Mar
    by 이정률
    2023/03/12 by 이정률
    Views 17 

    장로 선거를 위한 권면(2월 12일 칼럼)

  8. No Image 05Mar
    by 이정률
    2023/03/05 by 이정률
    Views 12 

    내 입장에서만 보지 말라

  9. No Image 26Feb
    by 이정률
    2023/02/26 by 이정률
    Views 16 

    형식적인 신앙생활의 위험성

  10. No Image 19Feb
    by 이정률
    2023/02/19 by 이정률
    Views 13 

    하나님의 뜻을 찾을 때 조심할 일(최영기 목사)

  11. No Image 12Feb
    by 이정률
    2023/02/12 by 이정률
    Views 9 

    장로 선거를 위한 권면

  12. No Image 05Feb
    by 이정률
    2023/02/05 by 이정률
    Views 9 

    직분자에 대한 오해

  13. No Image 29Jan
    by 이정률
    2023/01/29 by 이정률
    Views 14 

    직분 맡을 자격이 없어요

  14. No Image 22Jan
    by 이정률
    2023/01/22 by 이정률
    Views 19 

    교회를 움직이는 분들

  15. No Image 15Jan
    by 이정률
    2023/01/15 by 이정률
    Views 15 

    우리에게 필요한 능력

  16. No Image 08Jan
    by 이정률
    2023/01/08 by 이정률
    Views 16 

    식사는 예배와 다르지 않습니다

  17. No Image 01Jan
    by 이정률
    2023/01/01 by 이정률
    Views 18 

    새해 결심

  18. No Image 25Dec
    by 이정률
    2022/12/25 by 이정률
    Views 28 

    고운 별 하나 가슴에 묻고

  19. No Image 18Dec
    by 이정률
    2022/12/18 by 이정률
    Views 11 

    모자람의 은혜

  20. No Image 11Dec
    by 이정률
    2022/12/11 by 이정률
    Views 12 

    ‘아직’과 ‘이미’ 사이 (2018년 8월 19일 칼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

교회안내

서울시 관악구 난향동 679-1 T. 02-856-4367 F. 02-867-4367